보험료가 저렴해진다면 개인정보를 보험회사에 기꺼이 넘긴다

보험영업 2018. 6. 22. 00:21

사람들은 보험료가 저렴하다면 기꺼이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험회사에 넘긴다고 합니다.
특히 18-34세의 젊은 층은 66.6%가 이 행위에 긍정적이라고 합니다. 싱가포르와 미국이 영국보다 훨씬 긍정적인데 전세계 8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고 합니다.

보험회사가 이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합니다.

 

출처 : http://www.theactuary.com/news/2018/06/nearly-half-of-insurance-customers-happy-to-share-data-for-cheap-premiums/

 

Insurance customers happy to share data for cheap premiums

Almost half of insurance customers around the world are happy for insurers to use data from social media companies and health monitoring applications in return for cheaper premiums.

19 JUNE 2018 | CHRIS SEEKINGS
Customers feel "disconnected" from insurers ©Shutterstock
Customers feel "disconnected" from insurers ©Shutterstock


That is according to new research by MuleSoft, which finds that young people are particularly open to the idea, with nearly two-thirds of 18-34-year-olds willing to share data this way.

Geographically, customers in Singapore and the US were happiest for insurers to use social media and internet of things (IoT) data, while those in the UK were least open to the concept.

Mulesoft EMEA client architect, Jerome Bugnet, said the insurance industry should work with regulators to give customers the option of sharing more data in return for personalised premiums.

However, he added: “Insurers are already struggling to deliver a connected experience before even considering how they bring all these new data sources into the equation.

“Those that are unable to overcome this challenge risk damaging customer loyalty and falling behind the more innovative insurance providers.”

The research involved a survey of more than 8,000 customers, finding that 58% think insurers provide a “disconnected experience”, with 56% open to changing providers as a result.

It was also found that 30% have given up on interacting with an insurance company because the information sharing process was too difficult.

Almost half of customers believe that applying for or renewing a policy should take no longer than an hour, with at least a quarter having had to re-submit information when making an application or claim.

Some 45% would like to use messaging services like WhatsApp and Facebook Messenger when engaging with an insurer, with 22% having used a chatbot in the last 12 months.

“If they want to remain relevant, insurers need to engage on their customers’ terms, using modern channels and technologies such as messaging platforms and chatbots,” Bugnet continued.

“Insurers should therefore build an ‘insurance as a platform’ environment, where they can collaborate with internal teams, InsurTech companies and other partners.”

설정

트랙백

댓글

CI보험의 새로운 디자인

보험계리 2018. 3. 11. 20:11

캐나다에서 CI보험은 약 20년전에 출시되었는데, 여전히 수입보험료가 GDP의 3%에 못미치는 수준에 놓여있습니다. 그런데, 의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과도한 건강진단과 역선택이 발생해서 존립기반이 위태롭다고 합니다.

CI보험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이 필요한데, 보험료 수준과 보장범위, 예기치 못한 보험금 부풀리기(ballooning claims) 등에 대한 약관개정 등에 대해서 보험회사, 재보험회사, 보험계약자가 합리적인 합의를 이루어야 할 것같습니다.

 

스위스리가 전문가 소식(Expertise Publiccation)으로 발표했네요.

 

http://institute.swissre.com/research/library/critical_illness_insurance_in_canada.html

 

Critical illness insurance in Canada

The current product structure of the standalone, fully-guaranteed individual critical illness insurance product was launched in Canada more than 20 years ago. Yet penetration remains low at 3%. Scientific advances and next-generation medical diagnostics could undermine the viability of current CI products due to heightened risk of over-diagnoses and anti-selection. Could changing the current long-term guaranteed model benefit consumers and insurers in Canada alike?

설정

트랙백

댓글

Contribution : 부담금! 부담금 계산에 기여한 사람 이야기

보험계리 2014. 3. 17. 12:24

Contribution : A gift or payment to a common fund or collection

출처 : http://www.oxforddictionaries.com

 

미국 동부의 필라델피아라는 도시는 약 240년전에 미국의 독립선언문이 발표된 곳이고 미국의 독립 직후 미연방의 수도였다. 그래서 그런지 이곳에 가면 온통 "미국 최초의"라는 수식어가 붙여서 설명되는 것들이 즐비하다.

미국 최초의 수도, 최초의 대륙회의(the First Continental Congress), 미국 최초은행(First Bank of the United States), 미국 최초의 동물원(Philadelphia Zoo)...​

미국 최초의 보험회사도 역시나 이곳에 있는데, 1752년 벤자민 플랭클린이 세운 "The Philadelphia Contributionship for the Insurance of Houses from Loss by Fire"이다.(이 화재보험회사는 현재 Philadelphia Contributionship이라는 이름으로 영업하고 있다.

 http://www.contributionship.com)

그런데, 이 이름을 굳이 직역하자면 "화재로 인한 주택 손상을 보상하기 위한 필라델피아 부담기금"이라고 할까? 이 사람들은 무슨 회사 이름을 이렇게 순진하게 지었을까?

​필라델피아 독립 역사공원에 있는 The Philadelphia Contributionship의 설립당시 본사건물 주변과 과거를 고스란히 보존해 놓은 옛도시(Old City)를 서성거리며 260년 전을 상상해 보면 좀 쉽게 이해가 간다. 독립전쟁 전후 필라델피아에 벽돌건물을 많이 보급했건만 여전히 주택화재가 빈번했고, 벤자민 플랭클린은 이 피해를 막고자 몇몇 지인과 기금을 모아 상호보험회사를 설립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좀 재미있는 일이 있었다. Carpenter Company의 목수 몇명(Joseph Fox, Gunning Bedford 등)이 이 보험회사를 위해 일하면서 이 동네 집집마다 벽돌구조도 보고 선반위치도 상세히 조사하여 보험료 계산 자료로 제공했다고 한다.

그 목수들 중에서 Joseph Fox 같은 사람은 Carpenter's Hall 건축당시 책임자(master builder)였다. 그렇다 보니, Carpenter Company가 비밀로 하고 있었던 Carpenter's Hall의 벽돌값, 인부비용 등 건축비용 정보가 고스란히 보험회사로 넘어가서 보험요율(보험가입자의 분담금)에 반영됐을 것은 명약관화!.

험회사를 위해 일을 한 목수아저씨가 보험회사가 받아야할 보험가입자의 보험료 혹은 부담금(contribution)의 계산에 기여(contribute)한 셈이다.

혹시 미국의 독립역사를 살펴보기 위해 미국 13개주 중 조지아를 제외한 12개 식민지의 지도자가 모여 제1차 대륙회의(the First Continental Congress)를 열렸던 목수회관(Carpenter's Hall)에 들리거든 보험역사에 큰 기여를 했던 목수들의 모형(홀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음)도 잊지말고 보시기를... ​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