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RS17 시행을 1년 더 연장해주세요

보험계리 2019. 9. 17. 08:50

2019년 9월12일 유럽 보험회사 CFO 포럼이 IFRS17 시행을 2023년으로 연기해달라는 공개서한을 국제회계기준원(IASB)에 발송했다.

총34쪽으로 작성된 이 letter는 제도시행으로 큰 영향이 있는 3가지 주요 이슈를 지적하면서 기존 2022년 시행계획이 수정되어야함을 주장하고있다.

첫째는 보험계약마진(CSM) 관련 합산수준(level of aggregation),

둘째는 그룹과 자회사간의 보고주기의 표현상 불일치(presentation),

세째는 보다 원칙주의에 충실해야 하는 수정 과거법 산출기준(transition) 이다.

이 단체의 서한은 이전에 2022년으로 연기를 관철한 바 있는데, 이번에도 같은 효력을 행사할지 주목된다.

http://www.cfoforum.eu/downloads/CFOF-IFRS-17-ED-Comment-Letter-with-EFRAG-questions.pdf

설정

트랙백

댓글

지급여력제도 수정안 발의

보험계리 2019. 3. 17. 23:04

유럽연합 집행위(European Commission)는 사모펀드를 보유한 보험회사의 자본요구량을 낮추는 것을 내용으로하는 Solvency II 수정안을 제안했다.

집행위의 Valdis Dombrovskis 부회장은

"지급여력제도의 일부규정이 보험회사들로 하여금 주식과 사채(private debt) 투자를 어렵게 한 측면이 있었기에 이 의견을 귀기울여 들었고, 3월8일 채택된 수정안으로 이 보험회사들의 장기 자금조달이 용이해질 것이다."

라고 말했다.

 

출처 : https://www.pionline.com/article/20190311/ONLINE/190319986/ec-proposes-lowering-capital-requirements-for-insurance-companies-with-private-equity-private-debt?fbclid=IwAR1mdW-yp49-kuKwXL4GmJgLizv9lvB_1mNmblPi1zmWnFYGySMompEbGR8

 

EC proposes lowering capital requirements for insurance companies with private equity, private debt

설정

트랙백

댓글

국제회계기준 도입을 2년만 늦춰 주세요

보험계리 2018. 10. 22. 20:48

보험회사 협회들이 새로운 국제회계기준 시행시기를 2년 연기해달라고 국제회계기준원(IASB)에 요청했습니다. 캐나다, 뉴질랜드, 유럽 등 9개 국가의 협회인데, 국제회계기준 (IFRS17)이 예정대로 2021년 1월에 시행되면 여전히 개선되어야할 할인율 등의 문제로 운영상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물론 도입을 안하겠다거나 준비를 늦추겠다는 얘기는 절대 아니고 시간만 더 달라고 합니다. 회계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숙련된 전문가를 육성하고 양질의 믿을만한 데이터를 준비하는데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출처 : http://www.theactuary.com/news/2018/10/global-insurers-call-for-two-year-delay-to-ifrs-17-implementation/

 

Insurers call for delay to IFRS 17

Nine insurance organisations have written to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 (IASB) calling for a two-year delay to the introduction of IFRS 17.


19 OCT 2018 | CHRIS SEEKINGS
Companies urge for longer preparation time ©iStock
Companies ask for longer preparation time ©iStock


In a letter addressed to the IASB’s chairman Hans Hoogervorst, the group warned of “serious operational constraints” on insurers’ ability to meet the 1 January 2021 implementation date.

The organisations also highlighted a range of concerns they have with the standard, including measurements of discount rates, and called for improvements before IFRS 17 comes into force.

“We are liaising across our markets with the aim of providing timely progress on the necessary improvements,” the letter states. “As a result, we strongly believe a two-year delay is required. 

“This is essential to allow for the necessary improvements to the standard and to allow adequate time for companies to apply the standard and meet its significant implementation challenges.”

The Insurance Bureau of Canada, the Financial Service Council of New Zealand, the Association for Savings and Investment South Africa and Insurance Europe, are among the nine signatories.

There is no expectation that a delay to the implementation date would result in insurers stopping or slowing their IFRS 17 preparations, according to the letter.

Instead, it is thought that the extra time will help firms deal with challenges around software solutions, acquiring skilled workers, and the system changes needed to prepare data of suitable quality and reliability.

In addition, the group said this would allow for regulatory changes to be finalised in some jurisdictions, an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potentially very different” financial reporting going forward.

Insurance Europe said: “A number of important issues still need to be resolved in order to ensure the quality and operational practicability of the new standard.

“The fact that so many insurance associations from around the world have signed this letter demonstrates the importance and urgency to have a decision on a delay and for the IASB to move forward on the necessary improvements.” 

설정

트랙백

댓글

Benefits : 보험금! 내가 낸 돈으로 받는 건데 왜 혜택이지?

보험계리 2014. 3. 17. 12:26

Benefits : Compensation for loss and other services provided by insurers under terms of insurance contracts.

 

출처 http://www.irmi.com/online/insurance-glossary/terms/b/benefits.aspx

 

예전 우리나라 생명보험회사 이름에 베네피트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었다. 베네피트라고 영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첫번째 뜻이 혜택, 이득(an advantage)이다. 이 생명보험회사에 가입하면 보험가입자가 혜택을 볼 수 있다는 뜻을 가지니 얼마나 좋은 이름인가? (사실 이 회사의 이름은 동양시멘트와 미국 Benefit 생명보험 상호회사가 합작해서 보험회사를 만들면서 그 앞글자를 따서 지어진 이름이니 이런 해석과는 전혀 상관없고, 나중에 미국회사의 지분이 빠지면서 베네피트라는 이름도 빠졌다.)

 

아무튼, 보험에서 benefit라는 용어는 그냥 댓가없이 받는 혜택도 이득도 아니다. 보험계약(terms of insurance contracts)에 따라 사고가 났을 때 보험회사가 주는 보험금으로 해석된다. 보험계약이 존재하려면 사람들은 당연히 보험료(premium)를 내야만 한다. 따라서, 내가 보험료를 내고 그 댓가로 보험회사로 부터 받는 돈이 보험금인 것이다. 그런데, 이 보험금을 영어에서 혜택, benefit이라니...

정말 어처구니 없게 생각될 수 있다. 특히, 보험사고가 발생했는데도 이런 저런 계약상의 제한조건 때문에 보험금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열불이 날 일이다.

 

하지만, 그냥 보험이라는 것이 왜 생겼을까를 생각해보면 보험금이 Benefit이라는 것에는 충분히 동의할 수 있을 것같다. 여러사람이 십시일반(十匙一飯)해서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는 것이 보험이 생긴 이유이고, 어려움에 처한 사람이 자기가 낸 몫보다 많은 돈으로 생활의 곤궁이 다소 나아졌다면 혜택을 본 것 아닌가?

 

생긴지 30년 가까이 된 서울의 낡은 재건축아파트 출구에 버젓이 서있는 차량 안전용 볼록거울과 이를 설치한 어느 보험회사의 명칭 광고를 보면서, 복잡하기만 한 보험용어 "benefits"와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볼록거울과 닮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설정

트랙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