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연금 수익률에 해당되는 글 4건
- 2019.09.08 고령자가 더 오래 일해야하는 이유들
- 2019.08.13 연금보험 선택이 줄고 인출프로그램 증가
- 2018.12.01 DB가 사라져도 연금계리는 남는다
- 2018.09.20 근로자 과반수 이상이 은퇴후 대비 자산이 전혀 없습니다
글
고령자가 더 오래 일해야하는 이유들
최근 OECD보고서 "Working Better With Age"에 따르면 2050년 쯤이면 OECD국가 시민의 중간연령(median age)는 40세에서 45세로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 현재는 100명중 41명이 은퇴자인데 그때쯤이면 현재의 트랜드가 계속된다면 58명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더 오래 일하고 싶어한다. 최근 천명의 영국 은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25% 정도는 자신들이 너무 일찍 은퇴했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이들의 평균은퇴연령은 61세였다. 그리고 33% 정도는 은퇴후에 삶의 목적을 잃었다고 응답했다.
은퇴하면 아침잠을 늘어지게 잘 수 있고, 아침 교통혼잡에 시달릴 필요도 없고, 더이상 끊임없이 계속되는 미팅과 이메일 체크에 시달릴 필요가 없다. 하지만,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전세계를 여행하는 웅장한 계획은 금방 시들해지기 쉽고, 사회적 관계의 중단과 외로움에 직면하게 된다.
일을 하고 있는 것은 많은 보상을 주는데, 이것이 사람을 생동감있게 만들고 삶의 목적도 준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일하는 것을 즐기기 때문에 오래 일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일 하는 것을 중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은퇴시점까지 적립해 놓은 은퇴자금을 재투자할 필요가 있는데, 최근 금리가 너무 낮아서 적절한 투자가 쉽지않다.
그러나, 고령자가 오래 일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것은 두가지이다. 고령자의 임금이 높을 수 밖에 없는 구조와 55세이상 65세 이하의 고령자들의 취약한 컴퓨터 능력이다.
출처 : https://www.economist.com/business/2019/09/02/people-are-working-longer-for-reasons-of-choice-and-necessity?cid1=cust/dailypicks1/n/bl/n/2019092n/owned/n/n/dailypicks1/n/n/NA/301715/n
'연금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연금제도는 낮은 수준 (0) | 2019.10.27 |
---|---|
미국 GE의 퇴직연금 동결 (0) | 2019.10.08 |
연금보험 선택이 줄고 인출프로그램 증가 (0) | 2019.08.13 |
장수리스크와 젊은 세대의 저축 (0) | 2019.07.27 |
은퇴위기는 과장되었다 (0) | 2019.07.22 |
글
연금보험 선택이 줄고 인출프로그램 증가
일시금으로 받지 않겠다면 나누어받아야 하는데, 종신연금처럼 보험회사에 맡기고 따박따박 정해진 돈을 받는 방법이 있고 아니면 이걸 투자하면서 적절히 인출해서 쓰는 방법이 있다. 결국 연금보험(annuity)이냐 인출프로그램(withdrawal)이냐를 가지고 고민하게 된다.
영국의 재무설계회사인 EValue가 2019년 4월까지 1년간 8만6천명의 영국 퇴직연금 수령자를 대상으로 조사해보니 50% 이상이 인출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시금으로 빼간 사람은 14%인데 작년보다 3%p 증가했다고 하는데, 결국 전통적인 연금을 선택한 사람은 작년보다 4%p 줄어든 36%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런 인출 선호 경향은 세대, 성별과 무관하게 나타났다.
https://www.altfi.com/article/5623_savers-favour-pension-drawdowns-over-annuities-
'연금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GE의 퇴직연금 동결 (0) | 2019.10.08 |
---|---|
고령자가 더 오래 일해야하는 이유들 (0) | 2019.09.08 |
장수리스크와 젊은 세대의 저축 (0) | 2019.07.27 |
은퇴위기는 과장되었다 (0) | 2019.07.22 |
퇴직연금 DB자산의 외부이전 확대 (0) | 2019.07.08 |
글
DB가 사라져도 연금계리는 남는다
DB제도가 사라지면 당연히 연금계리(pension actuary)도 사라질 줄 알았는데, DC제도가 번성하면서 오히려 연금계리가 부각되고 있습니다.
요즘 영국 상하원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CDC(집합형 DC) 이야기 입니다.
간단히 말해서 우리나라 계약형 DB제도처럼 사업자(provider)에게 기업이 부담금을 납입하는 구조를 차용한 건데, DC니깐 당연히 자산운용은 근로자가 합니다....
근로자가 아무리 자산운용을 못해도 사업자가 여러 근로자 것을 모아서 일종의 최저보증을 해주는 개념이죠.
어떻게 구현할까요. 연금계리가 답인거죠.
전통적인 두개의 리스크관련 이론,
즉, 리스크이전과 리스크관리중에서 리스크이전의 승리처럼 보입니다.
근로자에게 막연히 자산운용 잘하도록 리스크관리를 하라가 먹히지 않는 걸 인정하고, 리스크를 기업과 사업자와 공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같습니다.
아무튼 영국은 CDC로 북유럽은 NDC로, 또 IDC로...
세계의 사적연금시장은 숨가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UK government seeks views on collective DC pensions
The UK government is seeking views on its approach to developing 'collective' defined contribution (CDC) pension schemes, in which pooled contributions are invested with a view to providing a targeted benefit level.07 Nov 2018
The 2015 Pension Schemes Act (2015 Act) included provision for collective benefits as part of a range of new 'defined ambition' risk-sharing options for employers and other pension providers. The government does not believe that these provisions, which were never enacted, are suitable for a CDC framework, and is instead proposing new legislation.
The consultation, which closes on 16 January 2019, was prompted by contact from Royal Mail and the Communication Workers Union (CWU), who have recently put forward their own plans for a CDC-style pension scheme for the Royal Mail workforce. In July, the Work and Pensions Committee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act quickly to legislate to allow for a scheme along the lines of that proposed by Royal Mail.
The government's preferred scheme design is based on that proposed by Royal Mail, meaning that the first CDC schemes would have to fit within this framework. This would cover occupational trust-based schemes run by a single or associated employers, authorised by The Pensions Regulator (TPR) and regulated on a modified version of the principles that currently apply to standard defined contribution (DC) schemes. CDC schemes would be subject to annual actuarial valuations, and member-borne charges would be capped at 0.75%.
Although the government said that it was "not ruling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regulatory regime might be modified should employers or others come forward with different proposals and designs that are appropriate ... the feedback so far suggests that employers want to see the RM scheme bed in before doing so".
"We also think it is right from a regulatory perspective that we learn from the experience of the RM scheme before we seek to make provision for other types of pooled risk schemes," it said.
In a collective pension, employers and employees pay a fixed contribution but the pension risk is shared between all members of the scheme. The trustees set out a targeted level of member benefits, but this is not guaranteed. By contrast, in a traditional DC scheme, the final value of the pension a member receives depends on the performance of that member's individual contributions, meaning that it is the employee who bears the full risk of the pension losing value.
In its consultation, the government emphasised that the benefits targeted by a CDC scheme should be "realistic". Schemes would therefore be required to undertake an independent review of their actuarial assumptions before seeking TPR authorisation. The targeted benefits would be reviewed on an annual basis as part of the actuarial valuation, and any necessary adjustments made.
The government's view is that CDC schemes will need sufficient scale to allow for pooled longevity risk across the membership. It is seeking views on the required scale as part of its consultation. It is also still considering what minimum quality requirements and accompanying tests should be applied to CDC schemes to enable them to be qualifying schemes for auto-enrolment.
Pensions expert Robin Ellison of Pinsent Masons, the law firm behind Out-Law.com, broadly welcomed the government's proposals. However, he said that the government would have to be careful to balance regulatory burdens with what was necessary for member protection if the new schemes were to be successful.
"It's good news that the government may be in the mood to allow different varieties of pension schemes that can offer better value for members without imposing unwelcome obligations on employers," he said. "Such schemes, if they are simple to administer, will be welcomed by many employers, and offer a better retirement for employees."
"The consultation document contains an unwelcome indication of additional regulation, without evidence that such regulation is required for member protection. It is clear that whatever model that emerges should be guarantee-free," he said.
'연금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퇴 1년 전에 해야할 20가지 (0) | 2019.01.07 |
---|---|
연금상품 구입전에 꼭 읽어야 할 것들 (0) | 2018.12.21 |
불황이 지속되면서 연금 수령액을 낮추는 방안이 등장 (0) | 2018.11.28 |
장수리스크를 극복하고 연금 많이 받는법 (0) | 2018.11.25 |
감독원, DB도입 기업에게 주주배당보다 퇴직연금 적립에 주력하라고 경고 (0) | 2018.11.12 |
글
근로자 과반수 이상이 은퇴후 대비 자산이 전혀 없습니다
근로자의 과반수 이상이 은퇴후를 대비한 자산이 전혀없다고 합니다.
미국워싱턴에 소재한 비영리연구소 NIRS(National Institute on Retirement Security)는 미국의 근로가능한 연령대 인구가 약 1억명인데 이중에 57%가 은퇴후를 대비한 자산이 전혀없다라는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55세부터 64세 근로자의 68%가 보유하고 있는 은퇴대비 자산은 단지 일년 연봉(약 4만달러) 수준인데 은퇴후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입니다.
근로자의 77%는 67세까지 일을 한다고 해도 은퇴자산이 본인이 예상하는 최소한의 수준에 미달할 거라고 합니다.
Majority of working-age Americans have no retirement savings – NIRS report
The median retirement account balance among working-age Americans is zero, according to a research report by the National Institute on Retirement Security, a non-profit research group based in Washington.
Using U.S. Census Bureau data, the institute also found 57% of working-age Americans — more than 100 million people — don't have retirement assets in an employer-sponsored defined contribution plan, pension plan or individual retirement account.
"Retirement is in peril for most working-class Americans," Diane Oakley, the report's author and NIRS executive director, said in a news release Monday.
The report found about 80% of working Americans have less than one year's income saved in retirement accounts. "Also, 77% of Americans fall short of conservative retirement savings targets for their age based on working until age 67, even after counting an individual's entire net worth — a generous measure of retirement savings," the news release said.
The NIRS report noted that even among retirement account savers, the typical worker had a balance of just $40,000.
"This is far off track from the savings levels Americans need if they hope to sustain their standard of living in retirement," Ms. Oakley said.
The report added 68% of individuals ages 55 to 64 have retirement savings "equal to less than one time their annual income, which is far below what they will need to maintain their standard of living over their expected years in retirement."
'연금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가 멀리스경(Sir James Mirrlees)의 명복을 빕니다 (0) | 2018.09.23 |
---|---|
새로운 저축계좌 신설 등 퇴직연금제도 규제완화 (0) | 2018.09.22 |
세계3위 국민연금! (0) | 2018.09.08 |
감독원, 연금에 대한 재검토 촉구 (0) | 2018.08.31 |
수수료 부담없이 연금받기 (0) | 2018.08.22 |